재인불애(財印不碍) 『사주첩경(四柱捷徑)』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4-08-08 13:45 조회8,458회 댓글0건본문
자강(自彊) 이석영(李錫暎) 『사주첩경(四柱捷徑)』
■ 재인불애(財印不碍)
재인불애란 인수와 재가 동림하여 있어도 장애가 없을 때가 있다는 뜻이다.
재는 인수를 극하고 인수는 재에 피상(被傷)을 당하는 것이므로 재인동림(財印同臨)은 원칙적으로 있을 수 없지만 때로는 인수가 타를 생하거나 또는 타와 결탁하였을 경우, 아니면 인수가 심왕 하였을 경우는 재가 있어도 하등의 구애가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그 재가 은성(恩星)이 될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목 일주가 亥子월에 생하고 다시 주중에 水多(인왕)하여 부목(浮木)이 될 위험성이 있는 때에는 재되는 토가 있어 제수(制水)하므로, 이러한 격에는 재가 만금의 가치가 있는 것이다.
자평 인수 시결에서는 "木逢 壬癸가 水漂流인데 日主無根에 罔度秋라 歲運에 若逢財旺處면 反凶爲吉 遇王侯라.(목봉 임계가 수표류인데 일주무근에 망도추라 세운에 약봉재왕처면 반흉위길 우왕후라.)"고 하였다.
다음 庚金日 생인 주중에 토다인수 즉 토중금매(土重金埋)로 도리어 병이 되니, 이럴 때에는 木財가 있어 그 왕토(旺土)를 소통시키므로 대길 하여진다.
이상과 같은 경우는 인수가 재를 만나 불길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대길해지는 것이므로 또 자평서 인수시결에서 말하기를 "貪財壞印을 莫言凶하소 須要參詳이면 妙理通이라(탐재괴인을 막언흉하소 수요삼상이면 묘리통이라)"고 하였다. 결론은 인왕사주에는 탐재괴인이 안되고 오히려 반흉위길이요 이것을 재인불애로 본다.
斷曰: 印綬太旺에 見財爲貴니 反凶爲吉하여 富貴非常이라.(단왈: 인수태왕에 견재위귀니 반흉위길하여 부귀비상이라.) 인수가 크게 왕하면 재를 보는 것을 귀히 여기니 흉한 것을 되돌려 길하게 만들어 부귀가 평범하지 않다.
[주석] 피상(被傷): 상해를 입음.
재인동림(財印同臨): 재성과 인성이 같이 머물고 있음.
은성(恩星): 은혜가 되는 성
부목(浮木): 물에 둥둥 떠다니는 나무.
제수(制水): 수를 제어함.
木逢 壬癸가 水漂流인데 日主無根에 罔度秋라 歲運에 若逢財旺處면 反凶爲吉 遇王侯라.(목봉 임계가 수표류인데 일주무근에 망도추라 세운에 약봉재왕처면 반흉위길 우왕후라.): 목이 임수를 만나면 물에 떠돌아 흐르는데 일주가 뿌리가 없으면 가을을 헤아리지 말아라. 세운에 만약 재왕한 곳을 만나면 흉한 것을 되돌려 길하게 되니 왕후를 만난 것과 같다.
토중금매(土重金埋): 토가 너무 많아 금이 묻힘.
貪財壞印을 莫言凶하소 須要參詳이면 妙理通이라(탐재괴인을 막언흉하소 수요삼상이면 묘리통이라): 탐재괴인을 흉하다 말하지 마소. 모름지기 세 번을 자세히 살펴보아야만 묘한 이치에 통하게 된다.